Categories
Windows

윈도우 10에서 명령 프롬프트의 디폴트 (default) 디렉토리 변경하기

윈도우 10 에서 명령 프롬프트의 디폴트 (default) 디렉토리를 변경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1. 명령 프롬프트의 속성 창 열기

윈도우 키와 S 키를 동시에 눌러서 검색 메뉴를 연다.

입력 박스에 ‘command prompt’ 를 입력하여 명령 프롬프트 앱을 검색한다.

검색된 명령 프롬프트 앱 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다.

메뉴에서 ‘Open file location’ 을 선택한다.

파일 탐색기가 열리는 것을 확인한다.

‘Command Prompt’ 바로 가기 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다.

메뉴에서 Properties 를 선택한다.

명령 프롬프트의 속성 창이 열리는 것을 확인한다.

2. 명령 프롬프트의 디폴트 디렉토리 변경

Shortcut 탭을 선택한다.

‘Start in’ 필드에 입력하는 디렉토리가 명령 프롬프트의 디폴트 디렉토리가 된다. 여기에 원하는 디렉토리를 입력한다.

OK 버튼을 누른다.

3. 변경 결과 확인

명령 프롬프트 창을 연다.

디폴트 디렉토리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해 보자.

Categories
Linux

우분투에서 프로세서 아키텍처 (architecture) 타입 확인하기: 32비트 또는 64비트

우분투에서 프로세서 (processor) 아키텍처 타입 (type) 을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프로세서 아키텍처에는 2가지 타입이 있다. 하나는 32 비트 타입이고 다른 하나는 64 비트 타입이다.

1. uname 명령

uname 명령으로 프로세서 아키텍처, 커널 버전, 호스트네임 등의 시스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uname -a

2. 프로세서 아키텍처 확인

uname -a 명령의 출력 결과는 다음과 같다.

Linux vm-test 5.15.0-56-generic #62-Ubuntu SMP Tue Nov 22 19:54:14 UTC 2022 x86_64 x86_64 x86_64 GNU/Linux

Linux 는 커널의 이름이다.

vm-test 는 호스트네임이다.

5.15.0-56-generic 은 커널 버전을 포함한 릴리스 (release) 정보이다.

#62 는 리눅스 커널을 컴파일한 횟수이다.

‘Tue Nov 22 19:54:14 UTC 2022’ 는 리눅스 커널을 마지막으로 컴파일한 날짜와 시간이다.

첫번째 x86_64 는 머신 (machine) 의 아키텍처 타입이다. 64 비트임을 의미한다.

두번째 x86_64 는 프로세서의 아키텍처 타입이다. 64 비트임을 의미한다.

세번째 x86_64 는 운영체제의 아키텍처 타입이다. 64 비트임을 의미한다.

GNU/Linux 는 운영체제의 이름이다. 이 이름은 모든 리눅스 배포판에서 동일하다.

Categories
Linux

우분투에서 배쉬 (bash) 프롬프트 변경하기

우분투에서 배쉬 (bash) 프롬프트를 변경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1. $PS1 변수

배쉬 프롬프트의 형식은 $PS1 변수에 의해 결정된다.

$PS1 변수의 내용을 확인해 보자.

echo $PS1

$PS1 변수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debian_chroot:+($debian_chroot)}\u@\h:\w\$

\u 는 사용자 이름을 가리킨다.

@ 는 @ (at) 문자 자체이다.

\h 는 호스트네임 (hostname) 을 가리킨다.

: 는 : (colon) 문자 자체이다.

\w 는 현재 작업 디렉토리 (current working directory) 를 가리킨다.

\$ 는 $ (dollar) 문자를 가리킨다. 일반 사용자의 경우에는 $ (dollar) 문자로 표시되고 root 사용자의 경우에는 # (hash) 문자로 표시된다.

호스트네임이 vm-test 인 시스템에서 root 사용자가 /etc/apache2 디렉토리에 있을 경우에 프롬프트는 다음과 같다.

2. 배쉬 프롬프트 변경하기

$PS1 변수의 내용을 변경하면 배쉬 프롬프트가 변경된다.

$PS1 변수를 변경하기 전에 기존 내용을 다른 변수에 저장한다.

PS_BAK=$PS1

배쉬 프롬프트에 사용자 이름과 현재 디렉토리만 표시되도록 변경한다.

PS1=”\u:\w\$”

변경의 효과는 즉시 나타난다. 결과를 확인해 보자.

3. 배쉬 프롬프트 복구하기

원래 내용이 저장된 변수를 이용하여 배쉬 프롬프트를 복구한다.

PS1=$PS_BAK

4. 배쉬 프롬프트의 영구적인 변경

앞에서 알아본 변경의 효과는 일시적이다. 시스템을 재시작하거나 사용자가 다시 로그인하면 배쉬 프롬프트는 원래의 상태로 돌아간다.

배쉬 프롬프트를 영구적으로 변경해 보자.

편집기로 홈 디렉토리에 있는 .bashrc 파일을 연다.

vi ~/.bashrc

파일에서 아래 내용의 라인을 찾는다.

PS1=’${debian_chroot:+($debian_chroot)}\u@\h:\w\$ ‘

이 라인을 다음과 같이 수정한다.

PS1=’${debian_chroot:+($debian_chroot)}\u:\w\$ ‘

파일을 저장하고 편집기를 닫는다.

시스템에서 로그아웃했다가 다시 로그인한다.

배쉬 프롬프트가 변경되어 있는지 확인해 보자.

Categories
Linux

우분투에서 리눅스 커널 (kernel) 버전 확인하기

우분투에서 리눅스 커널 (kernel) 버전을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1. uname 명령

uname 명령은 시스템 정보를 알려주는 명령이다.

리눅스 커널 정보를 확인할 때도 이 명령을 사용한다.

uname -r

2. 리눅스 커널 버전 확인

uname -r 명령의 출력 결과는 다음과 같다.

5.15.0-56-generic

5 는 커널 버전이다.

15 는 메이저 리비전 (major revision) 번호이다. 리비전은 개정을 의미한다.

0 은 마이너 리비전 (minor revision) 번호이다.

56 은 버그 수정 (bug fix) 번호이다.

generic 은 커널이 데스크톱 (desktop) 용이라는 뜻이다. 커널이 서버 용일 경우에는 server 라고 표시된다.